![]() ![]() 고이 깊은 잠에 빠져있는 원시인 석상 ![]() ![]() ‘20000년의 역사가 잠든곳’ 달서구 선사시대로 초대형 석상 국내에서는 이례적으로 초대형 석상 조형물이 대구 달서구 진천동에 나타나 화제. 총 길이 20여 미터에 달하는 이 조형물은 깊은 잠에 든 원시인을 형상하고 있음. 본 석상은 달서구 선사시대유적지 테마거리 조성의 일부로써 이 지역일대를 선사시대의 컨셉으로 랜드마크로 조성하고자 하는 달서구청의 관광콘텐츠 사업의 일환으로 작품명은 ‘2만년의 역사가 잠든곳’ 이다. ![]() 이 작품은 선사시대의 역사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돌’소재를 작품에 사용하여 이 지역에 묻혀있는 어마어마한 잠재가치를 세상에 널리 알리기위해 기획 되었다. 또한 이 지역이 세계적인 선사유적지임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주민들 조차 알지 못하고 알기조차 힘들정도로 술집 밥집 간판으로 도배되어 있고 외부인들이 관심을 갖고 찾아오기에는 턱없이 어려운 환경인 점을 감안하여, 이와같은 볼거리와 문화 컨텐츠들로 이 지역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사업의 일환이다.
달서구청측은 올해 안으로 대형 석상 주위를 녹지와 수목등을 적극 조성하여 공원으로 활용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선사유적지에 대한 다양한 교육 문화 프로그램을 계획중에 있다. 아울러 조형물 뒷면에 만들어진 출입문을 통해 동굴 탐험을 하는 듯한 신비스러운 공간을 연출하여 어린이들과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원시유적 전시실이나 체험실로도 활용할 것을 구상 중이다. ![]() ![]() ![]() 현재 달서구 일대의 선사유적물은2만년여년 이상된 원시시대에서 부터 청동기 철기에 이르기 까지 선사유적 백화점이라고 할만큼 해외 역사 전문가들이 부러워하며 극찬할 정도로엄청난 수준의 매몰되어 있다고 한다. ![]() ![]() ![]() ![]() ![]() ![]() ![]() ![]() 현장을 찾은 대부분의 시민들은 석상앞에서 사진을 찍거나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도입초기에는 일부 주민들은 ‘우리동네에 사람이 찾아오는게 싫다.’ ‘동네가 시끄러워지는게 싫다.’ 라는 부정적인 입장들도 있었다. 다만 갑작스러운 도시 문화 컨테츠 개발사업들로 갑자기 외부 유입인구들이 방문할 것을 우려한 일부 주민들은 ‘우리집 앞마당에는 절대 안된다’며 다소 지역 주민들과의 반발과 잡음도 빈번했으니... ![]() VS ![]() ![]() ![]() ![]() ![]() ![]()
이에 달서구청 측의 입장은 지금 당장은 힘들고 생소하지만 대구시 브랜드의 혁신과 2만년 유구한 역사적 정통성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미래세대를 위해서는 언젠가는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과거 우리가 한끼 먹고살기 바쁜 시절에 멋도 모르고 귀중한 역사 유적지 위에 상가를 건립하고 아파트를 세워서 우리의 소중한 역사와 문화 자산을 많이 잃게 되었는데 이제는 앞으로 우리가 미래를 위해서는 단순히 돈이나 먹고사는 문제보다도 더 중요한게 뭔지 고민해봐야 할때이라고 밝혔다.
그 배경에는 달서구 측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현안들에 대해 본 조형물을 통해 구민들과 소통하고자 한 치열한 노력이 있었다.. ( 예시, 코로나 시국 방역 관련 이슈 )
인류는 언제나 전혀 새로운 것의 도입에 대해 언제나 막연한 거부감을 가져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무엇이 맞았고 틀렸는지 곧 가려지게 된다.
![]() ![]()
![]()
![]() ![]() ![]() - 설계파트 -
![]() ![]() ![]() ![]() ![]() ![]() ![]() ![]() ![]()
![]()
![]() * 조형물 얼굴 성형 과정상에서 본 조형물이 흉물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흉측한 사진들이 언론에 많이 노출되었다. ![]() *괴기스러운 장면 / 녹아서 뭉개진 눈코입 얼굴 검버즘 / 피부각질 등등... 완성도 되기전 단계의 사진들이 종종 언론에 버젓이 노출되었음. ![]() ![]() ![]() ![]() ![]() ![]() ![]() ![]() ![]() ![]() ![]() ![]() ![]() ![]() ![]() ![]() ![]() ![]() ![]() ![]() ![]() 조형물 완성 이후에도 수차례 성형 과정을 통해 인간다운 모습을 갖춰가게 되었음.
도색전
도색후
![]() ![]()
![]() ![]() ![]() ![]() ![]() ![]() ![]() ![]() ![]() ![]() ![]() ![]()
![]() ![]() ![]()
![]() ![]() ![]()
![]() ![]() ![]()
‘거리를 박물관으로 ’ 이색 선사유물 거리전시회 - 박물관 속 2만년 전 선사유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사진설명: 대구 달서구 일대에서 출토된 선사시대 유물들이 거리 곳곳에서 직접 전시되어 오가는 주민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달서구는 선사시대에 대해 무관심한 지역의 분위기를 탈피하고자 선사박물관을 한번 방문할 여유가 없는 시민들의 일상 속으로 직접 찾아가 우리 역사를 들려주고 보여주기 위해 이색적인 거리 전시회를 기획하였다. 문화재연구원 등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있는 그대로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없이 최대한 사실에 가깝게 전달하고자 했다. 이번 전시의 컨셉을 디자인한 국제적인 광고 기획자 이제석씨는 “이 지역은 구석기~신석기~청동기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선사유물이 대거 발견된 사상 유래없는 곳으로, 이는 불운이 아닌 하늘의 축복과 행운임을 알리고자 ‘로또맞은 동네’ 라는 콘셉트로 기획했다. *사진설명: 달서구 일대에서 발굴된 다수의 선사유물들이 1:10 확대 스케일의 정교한 전시 모형로 만들어져 진천동 일대 곳곳에 설치되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작가들의 상상력이 가미된인공적인기 존 선사테마 콘텐츠와는 달리 박물관, 이를 통해 땅 속 깊이 잠들어 있는 역사들이 땅 위로 나와 지역에 역동적인 생명력을 불어넣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공간 초월적 표현기법을 활용해 지상 전시물들은 하늘에서 유성처럼 떨어지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했고, 지하전시물들은 유물을 발굴하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하여 설치하였다. 달서구는 수많은 주민들이 오가는 진천역, 월배로 그리고 상화로에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를 의미하는 우리 지역의 출토유물을 조형물로 조성하여 보다 의미있는 힐링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이를 통해 선사시대로 탐방사업을 더욱 활성화하는 한편, 선사테마거리에 콘텐츠를 확충하고 선사문화체험관 건립 등을 계획 추진하여 주민의 생활 속에 살아 숨쉬며 누구나 찾아오고 싶어하는 달서구의 명소로 개발해 지역 주민과 상생발전 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달서구는 “이번 선사시대로 거리박물관 조형물 조성을 통해 2만년 전 대구의 삶터인 달서구가 우리지역의 역사와 관광의 중심이 되도록 독특하면서도 유쾌한 시도를 통해 유의미한 노력을 계속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관리자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