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순천대의 자랑, 3대 특화분야 (우주항공,스마트팜,애니메이션) 를 어떻게 브랜드 홍보에 활용할 수 있을까?
해결: 순천대가 추구하는 '융합'의 개념을 시각화 해보자. 기존 대학 홍보에서 사용했던 이미지와 영상 소스들을 모두 짬뽕시켜서 전혀 새로운 차원의 이미지로 탄생시켜 "학문 간 경계가 없는 교류"를 통해 전혀 새로운 차원의 결과물들을 만들어가는 창조적 과정을 은유한다. "세 가지의 전혀 다른 요소들이 모여 전혀 새로운 창조의 과정을 "콜라주"형식으로 직관적으로 풀어냈다. 이런 콜라주 기법은 옥외 광고뿐만 아니라 인쇄광고, 브로슈어, 포스터 등... 다양한 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참고로 인기 웹툰 작가 "귀귀"는 국립순천대학교 출신이다. 그의 작품 일부를 꼴라주에 활용하고자 했으나, 끝내 연락이 닿지 않아 활용하지 못했다. 뭐든 경계 없이 섞어보자. 예상치 못한 새로운 것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날 회식에서 맥주와 소주를 섞어만든 폭탄주를 마셨다. 2차는 칵테일.) BEFORE 다소 심심한 정문 입구 ( 입구가 어디지? ) AFTER 대형 타이틀 (좌) + 빌보드 타워 (우) 도입 빌보드 설치/적용 시뮬레이션 "소개합니다. 사상최초 3단 합체, 움직이는 변신 빌보드!" 설계의도: 3단 조합의 회전식 루바를 이런 식으로 타워 형태로 쌓아서 한 개의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슬라이스 되어 시간차를 두고 변경되도록 시도된 사례는 국립순천대학교가 처음이고, 국내 최대 규모로 알려져 있다. 한 개의 이미지는 시간차를 두고 부분 부분적으로 변화되어 국립순천대학이 추구하는 "경계 없는" "융/복합적" 교육의 철학과 대학의 정체성을 고스란히 이미지화시켜서 학교 상징물로 활용된다. 현장 실물 사진 기적의 공사, 이틀 만에 쇠파이프가 높이 15m 구조탑으로! 사전에 계획된 치밀한 조립 공정과 공장 가공 설계도의 간소화 등의 기술이 가미되어, 현장에서는 고작 단 2일 만에 (16시간) 높이 15미터(건물 5층높이)의 트러스트 골조 타워가 완성되었다. 이 정도 시공 속도는 국내 현업에 있는 그 어떤 건축/시공 업체에서도 이루어내기 힘든 경이로운 기록이며, 이제석 광고연구소가 짧은 기간 내에 성과를 내야만 하는 해외 원정 시공 업무를 소화해 낼 수 있는 비결이기도 하다. 참고로 세계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대한민국의 현장 노동자들의 속도와 퀄리티를 따라갈 수 있는 곳은 없다. 그런 이유로 해외 업무에는 반드시 국내 전문가들을 영입해서 함께 간다.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철쟁이들의 기량은 아마도 남해 일대(여수, 광양) 등지의 조선업 시장 발달로 인해 철공 작업이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있는 걸 활용하자구! 이제석 광고연구소가 자랑하는 앰비언트 애드(ambient ad) 기법은 작품 주변의 경관 일부를 작품의 소스로 활용하는 기법으로 이러한 접근은 비단 그래픽의 영역에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종종 시공현장에서도 활용된다. 보통 수직 타워 설치 시 높이 솟아오른 만큼에 비례해서 바닥의 뿌리(기초)의 크기와 면적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과도한 기초공사로 인해 캠퍼스 조경이 훼손되거나 불필요한 작업 공정과 예산이 늘어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미 캠퍼스에 기존 석재 조형물(약 10톤급)을 세워질 타워의 뿌리로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를 연구소 측에서 설계사+시공사 측에 제안한다. 이러한 디테일과 융통성은 통상 컴퓨터 모니터를 보고 구조물을 설꼐하는 사람의 모리에서는 쉽게 나올 수 있는 아이디어가 아니라 직접 현장을 보고 아이디어를 구상해야지만 가능한 시나리오다. 기존 바닥 석재 구조물을 기초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통해 레미콘 몇 대분의 콘크리트 부재와 며칠간의 추가 작업 공정을 세이브할 수 있었고, 캠퍼스 정원 바닥면을 최소의 크기로만 절개하여 나무와 수풀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구조체의 강성은 몇 배이상으로 높일 수 있어서 후면부 대각 지지대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었기에 덤으로 캠퍼스 이용객들의 통행에 불편함도 줄일 수 있었고, 시각적인 부조화스러움도 예방할 수 있었다.
거대한 규모의 H빔 조형물 받침대를 만드는 대신, 건물 내부를 파서 매립된 H빔 뼈대와 결박시키자는 연구소 측의 아이디어에 따라 받침대 제작공정을 줄임과 동시에 보다 더 날렵한 맵시를 자랑하는 조형물 설치 공정 사례가 있다. http://jeski.org/article_view.php?category=Installation&idx=517 소형 광고판 시리즈 추가 개발 공정
설치물 현장 실물 사진
공장 사전 제작 + 현장 시공 프로세스
작업 후기: 어느 지역을 가나 그 지역 나와바리에서 큰소리를 치며 텃세를 부리는 세력들이 있다. 긴 현장 시공 와중에도 팀원들 내부에서도 종종 갈등을 목격할 수 있었고, 한 팀에 너무 무리하게 많은 인력과 역할을 실수로 배치하는 과정에서 정략적 "노동조합"이 결성되었고, 우두머리로 보이는 작자가 심상이 뒤틀리는 바람에 결정적인 순간에 총파업의 위기도 겪게 되었다. 이번 공사 이후로는 전체 작업 공정에서 더욱 세부적인 파트로 그 역할을 나누어서 한 사람에게 너무 큰 권한을 부여해서는 안 되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Special Thanks to J.M.J / 결혼 축하드립니다. |
관리자 로그인 |